[뉴스초점] '정자교 붕괴' 원인은?…전국 지자체 교량 안전점검<br /><br /><br />성남시 정자교 붕괴 사고로 1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을 입은 가운데 전국 지자체들이 서둘러 교량 안전 점검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문제의 다리들은 한 회사가 설계했고, 적용한 공법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 전문가와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매일 이용하던 보행로가 갑자기 무너지면서 발생한,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사고였는데요. 붕괴를 촉발한 직접적 원인이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당시 CCTV 영상을 보면, 우산을 든 보행자가 다리에 들어서는 순간 보행로가 그대로 무너져 내립니다. 붕괴 과정은 2∼3초도 걸리지 않았는데요. 붕괴 직전 도로에 생긴 큰 균열을 봤을 때 전조 증상은 없었을까요?<br /><br /> 1993년에 건설됐다지만 철근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구조물이 한순간에 무너졌다는 건 보고도 믿기지 않습니다. 경찰은 보행로 아래에 있는 상수도관 파열 영향도 의심하고 있는데요. 시공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얘기도 있어요?<br /><br /> 학계에서는 분당신도시 조성 당시 권장되지 않은 시공법이 문제를 키운 것이라 지적합니다. 철근을 일직선으로 줄을 세워 이어 붙이는 방식이라는데요. 이 시공법이 붕괴 위험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캔틸레버 형태인 것도 사고 원인의 하나로 지목됩니다. 차도 아래에만 교각이 받치고 보행로에는 지지대가 없는 형태라 근본적으로 하중에 취약하다는 건데요. 하지만 설계 자체가 문제라고는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있어요?<br /><br /> 비슷한 위험에 처한 교량이 탄천 인근에 두 개가 더 있죠. 수내교와 불정교인데요. 보행로가 휘어지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져 통행을 막아놓은 상황입니다. 정자교와 같은 회사가 설계했다고 알려져 불안감이 더 큰 상황인데요. 추가 붕괴 가능성도 높아서요, 전면 재시공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어요?<br /><br /> 문제가 된 세 개의 탄천 횡단 교량은 과거 정밀 점검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. 매일 걷고 운동하던 길이 하루아침에 무너져 내린 것을 본 시민들의 불안감은 높습니다. 다른 지자체들도 부랴부랴 정자교와 비슷한 형식의 교량을 안전 점검하고 있는데요. 어떤 점을 주로 살펴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1기 신도시가 들어선 지 30년이 넘었기 때문에 시설 노후화는 교량의 문제만이 아닐 텐데요. 일상적인 점검과 보수만으로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을 거냐는 의문이 제기됩니다. 근본적으로 어떤 대책을 세워야겠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